개별소비세 30%인하 올해 6월까지 연장, 쏘나타 아반떼 등 승용차 구입 적기일까, 차살까

 

이런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에 차량 구입, 승용차 구입을 할까요? 아마 승용차 구입 계획을 가지고 계시는 분이면 하겠지만 돈없는 서민들이 갑자기 개별소비세 인하로 승용차 구입을 하기 만무하겠죠? 암튼 쏘나타의 경우 41~58만원을 인하하고 아반떼의 경우 29~40만원까지 가능하니까 혹하기는 하네요.

 

정부, 소비 활성화 대책 발표! 1월 구입 차량도 소급 적용가능,  아반떼 29만~40만원, 쏘나타 41만~58만원 인하 효과발생

 

 

 

 

현대자동차의 ‘신형 아반떼’.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로 아반떼는 가격이 29만~40만원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가 소비 활성화를 위해 승용차에 대한 개별소비세를 올해 6월까지 30%가량 깎아주기로 했습니다. 1월에 승용차를 구입한 사람도 소급 적용됩니다..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는 지난해 8월~12월까지 시행됐는데, 정부가 6개월 더 연장하기로 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소형차는 40만원, 중형차는 60만원, 대형차는 70만원가량 더 저렴하게 살 수 있게 됩니다.

 

정부는 3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승용차에 붙는 개별소비세율을 5%에서 3.5%로 1.5%포인트 내리는 방안을 포함한 1분기 경제 활성화 대책을 발표. 정부 정책으로 소비자들은 승용차를 인하된 가격에 살 수 있습니다. 아반떼는 29만~40만원, 프라이드 22만~32만원, 쏘나타 41만~58만원, 투싼 43만~53만원, 그랜저의 경우 55만~70만원가량 싸게 살 수 있습니다. 1억원이 넘는 고가 차량은 200만원 이상 혜택을 보게 되는데요..

 

 

 

 

승용차는 올 1월부터 6월까지 출고 또는 수입 신고를 하는 제품에 한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올 5월에 자동차 매매 계약을 하고, 7월에 잔금을 주고 당시 출고된 차량을 받았다면 세금 혜택을 받기 어렵다는 것. 자동차 출고 시점이 7월이 되기 때문이죠. 현대-기아차 등 자동차 업체들은 개별소비세 인하에 맞춰 추가로 할인 행사를 벌여 자동차 소비를 유도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또 주거 관련 부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내집 연금 3종 세트’를 시기를 당겨 오는 3월에 출시하기로 했습니다. 내집 연금 3종 세트는 주택담보대출을 받고 있는 이의 주택연금 가입 길을 확대하는 ‘60대 이상용 상품’, 장기 고정금리 대출인 보금자리론을 받으면서 주택연금 가입을 예약하는 ‘40~50대용 상품’, 생활이 어려운 고령층을 대상으로 연금액을 늘려주는 ‘우대형 주택연금’ 등 3가지로 구성됩니다.

 

아울러 정부는 1분기에 중앙, 지방, 지방교육재정 집행규모를 6조원 늘려 144조원을 쓰기로 했습니다. 기업이 기계 등 설비투자를 하면 수년에 걸쳐 비용처리를 해주는 ‘설비투자 가속상각’ 혜택을 중견기업까지 늘리고, 연구개발 세액공제를 지원하는 분야도 넓혀 투자를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개별소비세 인하 ->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소식이 전해져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최근 경제동향과 대응방안'을 확정했습니다.

 

 

정부에 따르면 승용차에 대한 개별소비세를 오는 6월까지 다시 내린다. 이 기간 동안 승용차를 구입하면 5%의 개별소비세가 3.5%로 인하됩니다. 개별소비세와 교육세(개별소비세액의 30%)를 합해 쏘나타의 경우 41만~58만원, 그랜저는 55만~70만의 세금이 줄어듭니다. 올들어 이미 차량을 구입한 경우에는 소급해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을 즉시 환급해주는 면세판매장(사후면세점)을 조기에 확대 시행합니다. 백화점 등 대형 면세사업장을 중심으로 설 전부터 즉시환급을 실시하고, 나머지 사업장도 가능한 빨리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또 중앙·지방재정과 지방교육재정 6조원, 무역금융 등 정책금융 15조5000억원 등 총 21조5000억원을 1분기에 추가로 조기 집행합니다.